겉으로는 깔끔해 보이는 주택의 내부가 어지럽혀져 있다. 벽 한쪽에는 ‘은행가를 죽여라’라는 글귀가 음산하게 느껴진다.
2007년 미국 중산층이 주택담보대출을 대량 연체한 모기지 사태 배경의 영화 <라스트홈>. 2014년 미국에서 상영한 이 영화는 주인공뿐 아니라 미국인, 아니 대한민국 대다수의 국민도 예외가 될 수 없는 실화다. 국내에서 오는 4월7일 개봉을 앞두고 있다.
영화는 한 가장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데니스 내쉬는 플로리다주 한 시골에서 공사현장 막일도 마다않고 성실하게 일하지만 급여 체불로 인해 은행이자를 연체하게 된다. 그의 집은 은행에 담보로 잡혀 있었고 곧바로 압류된다.
집에는 사랑하는 홀어머니와 아들이 있다. 학교에서 돌아온 아들은 사라진 자신의 방을 보며 울부짖고 데니스는 그런 아들을 어떻게 달래야 할지 몰라 좌절할 겨를도 없다.
“평생 정직하게 일한 대가가 집 뺏긴 것 말고 뭔가.
자넨 주택을 담보로 3만5000달러를 빌렸고 갚지 않았어. 그건 도둑질 아닌가?”
“그건 대출이잖아요. 대출금 갚으려고 개고생하며 일했고 갚을 생각이었어요. 훔친 게 아니에요.”
“하지만 은행은 그렇게 보지 않네.”
릭은 데니스에게 집 1000채를 매매할 수 있는 빅딜을 제안하는 대신 모기지를 갚지 못한 채무자들을 한달 안에 집에서 내쫓을 것을 조건으로 건다. 빼앗긴 신세에서 빼앗는 자가 된 데니스. 혼란과 고민에 빠진 그에게 릭은 이렇게 말한다.
“미국이라는 나라에서는 100명 중 단 1명만 방주에 탈 수 있어. 나머지 99명은 가라앉아야 해.”
이것은 비단 미국만의 이야기가 아니다. 한국의 가계부채는 1000조원을 넘어섰고 임금과 소득은 제자리걸음을 걷고 있다. 중산층의 주거난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됐다.
미국의 모기지 사태는 은행의 잘못이었을까. 아니면 능력이 없으면서 무리하게 돈을 빌린 채무자의 잘못이었을까. 영화는 미국 금융정책의 그늘을 보여주는 한편 그로 인한 피해자는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사람들, 때로는 나 자신이 될 수 있음을 경고한다.
실시간 재테크 경제뉴스│창업정보의 모든 것김노향 기자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제,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승민, 문재인 일자리 공약에 "판단능력에 심각한 문제 있거나 아바타 대통령" (0) | 2017.05.14 |
---|---|
일본 빈집 800만채... 한국은??? (0) | 2016.07.16 |
다시 읽어보는 미네르바님의 글 (0) | 2015.12.27 |
금리인상과 한계가구 (0) | 2015.12.19 |
2016년부터 달라지는 세금제도 (0) | 2015.12.06 |